연설문

줄리안 트레져 2013년 테드 연설 한줄 해석 How to speak so that people want to listen

%$&)@ 2023. 8. 21. 17:49
반응형

 

The human voice: It's the instrument we all play.

인간의 목소리: 그건 우리가 모두 연주하는 악기입니다.

 

It's the most powerful sound in the world, probably.

아마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소리일 겁니다.

 

It's the only one that can start a war or say "I love you."

전쟁을 일으키거나 "사랑합니다"라고 말하는 유일한 것입니다.

 

And yet many people have the experience that when they speak, people don't listen to them.

하지만 많은 분들이 이야기는 하지만 사람들이 들어 주지 않는 경험을 합니다.

 

And why is that?

왜 그럴까요?

 

How can we speak powerfully to make change in the world?

어떻게 하면 세상을 변화시킬만큼 강력하게 이야기를 할 수있을까요?

 

What I'd like to suggest, there are a number of habits that we need to move away from.

여러분께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버려야할 습관들이 많다는 겁니다.

 

I've assembled for your pleasure here seven deadly sins of speaking.

여러분께서 알기 쉽게 말하기의 7가지 죄악으로 정리해 봤습니다.

 

I'm not pretending this is an exhaustive list,

이것이 총망라한 목록은 아니지만

 

but these seven, I think, are pretty large habits that we can all fall into.

이 일곱가지는 상당히 큰 우리가 빠져들기 쉬운 습관이라고 생각합니다.

 

First, gossip.

첫번째, 험담하기 입니다.

 

Speaking ill of somebody who's not present.

자리에 없는 사람을 나쁘게 말하는 것입니다.

 

Not a nice habit, and we know perfectly well the person gossiping, five minutes later, will be gossiping about us.

좋은 습관이 아니죠. 그리고 우리는 확실히 압니다. 우리의 험담거리가 된 사람이 5분 뒤에는 우리 험담을 하고 있을 것입니다.

 

Second, judging.

두번째, 비판하기입니다.

 

We know people who are like this in conversation, and it's very hard to listen to somebody

이런 사람들은 대화를 하긴 하지만 이야기 듣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압니다.

 

if you know that you're being judged and found wanting at the same time.

여러분이 비판받고 있는 동시에 모자라다는 것을 알게 되면

 

Third, negativity.

세번째는, 부정성입니다.

 

You can fall into this.

여기에 빠져들 수 있습니다.

 

My mother, in the last years of her life, became very negative, and it's hard to listen.

저의 어머니께서는 말년에 너무나 부정적이셔서 말씀을 듣기가 너무 힘들었습니다.

 

I remember one day, I said to her, "It's October 1 today,"

어느 날 어머니께 이렇게 이야기 했습니다. "오늘 10월 1일이에요."

 

and she said, "I know, isn't it dreadful?"

그러자 어머니께서는, "그래, 정말 기분나쁘지 않니?"

 

It's hard to listen when somebody's that negative.

그렇게 부정적이면 이야기 듣기가 힘듭니다.

 

And another form of negativity, complaining.

다른 부정성의 모습은 불평하기입니다.

 

Well, this is the national art of the U.K.

이것은 영국의 국립 예술입니다.

 

It's our national sport.

이것은 국립 스포츠입니다.

 

We complain about the weather, sport, about politics, about everything,

우리는 날씨, 스포츠, 정치, 모든 것에 대해 불평합니다.

 

but actually, complaining is viral misery.

사실 불평이란 만연한 비참함입니다.

 

It's not spreading sunshine and lightness in the world.

그것은 세상에 햇빛이나 밝은 빛을 쪼이는 게 아닙니다.

 

Excuses.

다섯번째, 변명입니다.

 

We've all met this guy.

이런 사람 꼭 있습니다.

 

Maybe we've all been this guy.

우리 모두가 이런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Some people have a blamethrower.

어떤 사람들은 늘 남탓을 합니다.

 

They just pass it on to everybody else and don't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actions,

그저 모든 사람들에게 탓을 돌리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and again, hard to listen to somebody who is being like that.

그런 사람 이야기는 듣기 어렵습니다.

 

Penultimate, the sixth of the seven, embroidery, exaggeration.

끝에서 두번째, 일곱가지 중 여섯번째는, 이야기를 치장하거나 과장하는 것입니다.

 

It demeans our language, actually, sometimes.

사실 이것은 가끔 우리의 언어를 해칩니다.

 

For example, if I see something that really is awesome, what do I call it?

가령, 정말 멋진 것을 보았을 때, 제가 뭐라고 할까요?

 

And then, of course, this exaggeration becomes lying,

이런 과장은 거짓이 됩니다.

 

and we don't want to listen to people we know are lying to us.

계속 거짓이 되면 우리에게 거짓말 하는 사람 이야기는 듣고 싶지 않습니다.

 

And finally, dogmatism.

마지막으로, 독단주의입니다.

 

The confusion of facts with opinions.

사실과 의견을 혼동하는 것이죠.

 

When those two things get conflated, you're listening into the wind.

두 가지가 융합되면 의미없는 소리를 듣는 것입니다.

 

You know, somebody is bombarding you with their opinions as if they were true.

어떤 사람이 자신의 의견을 진실인것처럼 몰아부치면

 

It's difficult to listen to that.

듣고 있기가 참 힘듭니다.

 

So here they are, seven deadly sins of speaking.

여기 이것들이, 말하기의 7가지 죄악입니다.

 

These are things I think we need to avoid.

제 생각에는 피해야할 것들입니다.

 

But is there a positive way to think about this?

하지만 이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Yes, there is.

예, 있습니다.

 

I'd like to suggest that there are four really powerful cornerstones, foundations,

저는 아주 강력한 네 가지 기초 원리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싶습니다.

 

that we can stand on if we want our speech to be powerful and to make change in the world.

우리의 연설이 강력하고 세상을 바꿀만한 것이 되도록 하시기 원하신다면 토대로 삼아야 할

 

Fortunately, these things spell a word.

다행히도, 이것들은 단어로 철자가 됩니다.

 

The word is "hail," and it has a great definition as well.

그것은 "인정(축복)"입니다. 뜻도 아주 좋습니다.

 

I'm not talking about the stuff that falls from the sky and hits you on the head.

하늘에서 여러분들 머리로 쏟아져 내리는 우박을 말씀드리는 것이 아닙니다.

 

I'm talking about this definition, to greet or acclaim enthusiastically,

저는 받아들여지고 열렬히 환영받기 위한 정의를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which is how I think our words will be received if we stand on these four things.

그리고 그것은 제 생각에 이 네 가지에 기초한다면 우리가 받게 될 것입니다.

 

So what do they stand for?

그것이 무엇을 상징하는 것일까요?

 

See if you can guess.

맞출수 있는지 보십시오.

 

The H, honesty, of course,

H는 정직입니다.

 

being true in what you say, being straight and clear.

말에 있어 진실하고 솔직 명확한 것입니다.

 

The A is authenticity, just being yourself.

A는 진정성 즉, 당신 자신이 되는 것입니다.

 

A friend of mine described it as standing in your own truth, which I think is a lovely way to put it.

제 친구가 "자신만의 진실을 말한다"라고 설명하던데 그게 참 괜찮은 설명인 것 같습니다.

 

The I is integrity, being your word, actually doing what you say, and being somebody people can trust.

I 는 도덕성으로 말을 지키는 것, 즉 말과 행동이 일치하고 누군가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And the L is love.

L 은 사랑입니다.

 

I don't mean romantic love, but I do mean wishing people well, for two reasons.

낭만적인 사랑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First of all, I think absolute honesty may not be what we want.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 먼저 완전한 정직은 아마 우리가 원치 않는 것일 겁니다.

 

I mean, my goodness, you look ugly this morning.

그러니까, "세상에, 오늘 아침 꼴이 말이 아니네요." 라든지

 

Perhaps that's not necessary.

그런 것은 불필요한 것입니다.

 

Tempered with love, of course, honesty is a great thing.

물론, 사랑으로 완화되어, 정직은 훌륭한 것입니다.

 

But also, if you're really wishing somebody well, it's very hard to judge them at the same time.

또한, 여러분이 누군가 잘 되기를 바란다면 그들을 비판하기가 어려울 것입니다.

 

I'm not even sure you can do those two things simultaneously.

그 두가지를 동시에 하실 수 있는지도 의문스럽습니다.

 

So hail.

HAIL 입니다.

 

Also, now that's what you say, and it's like the old song, it is what you say, it's also the way that you say it.

또한 여러분이 말하는 것, 그리고 오래된 노래와 같은 것, 그것을 말하는 방법입니다.

 

You have an amazing toolbox.

여러분은 놀라운 도구상자를 가지고 계십니다.

 

This instrument is incredible, and yet this is a toolbox that very few people have ever opened.

이 도구는 놀랍지만 사람들이 잘 열어보지 않는 상자입니다.

 

I'd like to have a little rummage in there with you now and just pull a few tools out that you might like to take away and play with, which will increase the power of your speaking.

거기에 잡동사니를 가지고 있고 여러분이 가지고 놀만한 말의 힘을 증가시켜 줄 몇 가지 도구들을 꺼내고 싶습니다.

 

Register, for example.

예를 들어, 말하는 음성입니다.

 

Now, falsetto register may not be very useful most of the time, but there's a register in between.

가성으로 목소리를 내는 것은 대부분 효과가 없겠지만 중간 정도의 목소리는 있습니다.

 

I'm not going to get very technical about this for any of you who are voice coaches.

발성지도자에게나 맞을 기술적인 얘기를 하지는 않겠습니다.

 

You can locate your voice, however.

하지만, 목소리를 식별할 수는 있습니다.

 

So if I talk up here in my nose, you can hear the difference.

제가 콧소리로 높여 이야기하면, 다르게 들리실 겁니다.

 

If I go down here in my throat, which is where most of us speak from most of the time.

우리 대부분이 말할 때 쓰는 목구멍 아래로 내려서 말하면 또 다릅니다.

 

But if you want weight, you need to go down here to the chest.

여러분이 무게감을 원하시면 가슴쪽으로 내려가야 합니다.

 

You hear the difference?

차이가 느껴지십니까?

 

We vote for politicians with lower voices, it's true,

사실 우리는 낮은 목소리를 가진 정치인에게 투표합니다.

 

because we associate depth with power and with authority.

목소리의 깊이를 힘과 권위에 연관시키기 때문입니다.

 

That's register.

그것이 음성입니다.

 

Then we have timbre.

다음으로는 음색이 있습니다.

 

It's the way your voice feels.

목소리에서 느껴지는 것입니다.

 

Again, the research shows that we prefer voices which are rich, smooth, warm, like hot chocolate.

우리는 풍부하고, 부드럽고, 코코아처럼 따뜻한 목소리를 선호한다고 연구결과가 말해 줍니다.

 

Well if that's not you, that's not the end of the world, because you can train.

여러분이 그런 목소리를 안 가지고 있어도 괜찮습니다. 훈련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Go and get a voice coach.

발성지도자를 찾아가십시오.

 

And there are amazing things you can do with breathing, with posture, and with exercises to improve the timbre of your voice.

호흡법, 자세와 연습으로 목소리의 음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놀라운 방법들이 있습니다.

 

Then prosody. I love prosody.

다음은 운율입니다. 저는 운율을 매우 좋아합니다.

 

This is the sing-song, the meta-language that we use in order to impart meaning.

이것은 노래이자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타 언어입니다.

 

It's root one for meaning in conversation.

대화에서 의미를 위한 으뜸입니다.

 

People who speak all on one note are really quite hard to listen to if they don't have any prosody at all.

한 가지 음으로만 이야기하면 듣기가 참 힘듭니다. 운율이 전혀 없다면 말입니다.

 

That's where the word "monotonic" comes from, or monotonous, monotone.

그래서 단조롭다는 것이 파생됩니다. 단조로운, 단색 그런 것입니다.

 

Also, we have repetitive prosody now coming in,

반복적인 운율도 있습니다.

 

where every sentence ends as if it were a question when it's actually not a question, it's a statement?

의문문이 아니라 평서문인데도 질문처럼 모든 문장을 끝내는 것이죠.

 

And if you repeat that one, it's actually restricting your ability to communicate through prosody, which I think is a shame,

그것을 계속해서 반복하면, 안타깝게도 운율을 통해 소통하는 능력을 제한하게 됩니다.

 

so let's try and break that habit.

그러니까 이제 그런 습관을 없애도록 합시다.

 

Pace.

속도입니다.

 

I can get very excited by saying something really quickly, or I can slow right down to emphasize, and

제가 어떤 것을 매우 빠르게 말해서 흥분하게 되거나 강조하기 위해 바로 속도를 늦출 수도 있고

 

at the end of that, of course, is our old friend silence.

마지막에는 우리의 오랜 친구인 침묵할 수 있습니다.

 

There's nothing wrong with a bit of silence in a talk, is there?

대화 중에 좀 침묵한다고 해서 나쁠 것은 없습니다. 그렇죠?

 

We don't have to fill it with ums and ahs.

"음", "어" 이런 말로 채울 필요가 없습니다.

 

It can be very powerful.

침묵은 매우 강력할 수 있습니다.

 

Of course, pitch often goes along with pace to indicate arousal, but you can do it just with pitch.

음조가 보통 속도와 함께 해서 주의환기를 보여주는데, 음조만으로 할 수 있습니다.

 

Where did you leave my keys?

열쇠 어디에 두었어?

 

Where did you leave my keys?

열쇠 어디에 두었어?

 

So, slightly different meaning in those two deliveries.

두 가지 전달 방법에 약간 다른 의미가 있습니다.

 

And finally, volume.

마지막으로 음량입니다.

 

I can get really excited by using volume.

음량을 조절해서 매우 격해질 수 있습니다.

 

Sorry about that, if I startled anybody.

놀라게 해드렸다면 죄송합니다.

 

Or, I can have you really pay attention by getting very quiet.

아니면, 아주 조용히 말해서 주의를 집중시킬 수도 있습니다.

 

Some people broadcast the whole time.

어떤 사람은 방송하듯이 떠들어댑니다.

 

Try not to do that.

그렇게 하지않도록 하십시오.

 

That's called sodcasting,

그것을 소리방송이라고 부릅니다

 

Imposing your sound on people around you carelessly and inconsiderately.

그것은 주변 사람들에게 아무 생각없이 무심하게 소리를 뿌리는 것이죠

 

Not nice.

좋지 않죠.

 

Of course, where this all comes into play most of all is when you've got something really important to do.

물론, 뭔가 중요한 것이 있을 때는 이 모든것이 다 작용을 합니다.

 

It might be standing on a stage like this and giving a talk to people.

지금처럼 무대에 서서 강연을 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It might be proposing marriage, asking for a raise, a wedding speech.

청혼을 하거나, 봉급 인상을 요구하거나, 결혼 축사를 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Whatever it is, if it's really important, you owe it to yourself to look at this toolbox

무엇이든지 그게 정말로 중요하다면 이 도구상자들을 살펴보고

 

and the engine that it's going to work on, and no engine works well without being warmed up.

그것을 작동시킬 엔진을 살펴봐야 합니다. 준비가 안되면 엔진은 작동하지 않습니다.

 

Warm up your voice.

목소리를 준비시켜 주십시오.

 

Actually, let me show you how to do that.

어떻게 하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

 

Would you all like to stand up for a moment?

모두 잠시 일어서 주시겠습니까?

 

I'm going to show you the six vocal warm-up exercises that I do before every talk I ever do.

제가 강연을 하기 전에 항상 하는 여섯가지 목소리 준비운동을 보여드리겠습니다.

 

Any time you're going to talk to anybody important, do these.

무언가 중요한 말을 해야 할때는 이렇게 해보십시오.

 

First, arms up, deep breath in, and sigh out, ahhhhh, like that.

먼저, 팔을 올리고 깊이 숨을 들이쉽니다. 그리고 길게 "아"하고 내쉽니다.

 

One more time. Ahhhh, very good.

한 번더요. "아", 아주 좋습니다.

 

Now we're going to warm up our lips, and we're going to go Ba, Ba, Ba, Ba, Ba, Ba, Ba, Ba. Very good.

이제 입술운동을 하는데, "바,바,바,바"하십시오. "바,바,바,바" 아주 좋습니다.

 

And now, brrrrrrrrrr, just like when you were a kid. Brrrr.

이번에는, "브르르르르" 하시는데 어렸을 때 했던 것처럼 해보세요.

 

Now your lips should be coming alive.

입술이 활기를 띨겁니다.

 

We're going to do the tongue next with exaggerated la, la, la, la, la, la, la, la, la.

다음은 혀운동을 해봅시다. 과장해서 "라,라,라,라" 해보세요.

 

Beautiful. You're getting really good at this.

훌륭합니다. 굉장히 잘하시는데요.

 

And then, roll an R. Rrrrrrr.

이번엔 혀를 굴려보십시오. "으르르르".

 

That's like champagne for the tongue.

혀에게 샴페인 같은 것입니다.

 

Finally, and if I can only do one, the pros call this the siren.

끝으로, 한 가지만 한다면 전문가들은 사이렌이라고 부릅니다.

 

It's really good.

효과가 좋습니다.

 

It starts with "we" and goes to "aw." The "we" is high, the "aw" is low. So you go,

"위"로 시작해서 "오"합니다. "위"는 높은 소리, "오"는 낮은 소리입니다. 해보세요.

 

weeeaawww, weeeaawww.

위이이이오오, 위이이이이오오.

 

Fantastic. Give yourselves a round of applause. Take a seat, thank you.

멋지네요. 박수쳐주세요. 앉으십시요, 감사합니다.

 

Next time you speak, do those in advance.

다음에 강연하실때는 미리 이것들을 해보십시오.

 

Now let me just put this in context to close.

이것에 대한 배경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This is a serious point here.

이게 중요한 부분입니다.

 

This is where we are now, right?

우리가 딱 이부분에 있습니다. 그렇죠?

 

We speak not very well to people who simply aren't listening in an environment that's all about noise and bad acoustics.

소음과 좋지 않은 음향때문에 잘 듣지 않는 사람들에게 우리는 제대로 이야기 하지 못합니다.

 

I have talked about that on this stage in different phases.

저는 여기서 여러가지 단계로 그것을 말씀드렸습니다.

 

What would the world be like if we were speaking powerfully to people who were listening consciously in environments which were actually fit for purpose?

우리가 만약 딱 맞는 환경에서 의식적으로 듣고 있는 사람들에게 강력하게 말한다면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요?

 

Or to make that a bit larger,

좀 더 확장시켜서

 

what would the world be like if we were creating sound consciously and consuming sound consciously and designing all our environments consciously for sound?

우리가 의식적으로 소리를 만들고, 소비하고, 우리의 모든 환경을 소리에 맞게 의식적으로 설계한다면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요?

 

That would be a world that does sound beautiful,

그것이 아름다운 소리가 나는 세상일 것이고

 

and one where understanding would be the norm,

그리고 이해하는 것이 보편적인 세상일 것입니다.

 

and that is an idea worth spreading.

그리고 그것이 널리 퍼뜨릴만한 생각입니다.

 

 

반응형